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용어 뜻 풀이 와 생각62

일확천금뜻 ( 一攫千金 ) 그리고 생각 일확-천금 「명사」 단번에 천금을 움켜쥔다는 뜻으로, 힘들이지 아니하고 단번에 많은 재물을 얻음. 또는 그 재물을 이르는 말. 일확천금을 꿈꾸며 복권을 사는 사람들. 일확천금을 노리다. 일확천금을 벌다. 표준국어 대사전 요즘 들어 더더욱 일확천금이 생겼으면 하고 생각이 많이 드네요. 주식이 끝없이 올라가고, 2백만 원 하던 비트코인 은 4천만 원이 넘었다니 나만 소외되고 있는 것 같아 어디 하늘에서라도 돈이 좀 떨어지지 않나 보게 됩니다. 일확천금 이란 말 안에는 부정적인 뜻이 들어 있습니다. 일하지 않고 큰돈이 생기길 바란다는 뜻이 있는데요. 문제는 일확천금을 노리는 사람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고 봅니다. 인간이기에 가능한 것입니다. 일확천금은 단순히 돈과 같은 재물만을 이야기 하는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2021. 1. 22.
졸혼뜻 졸혼 ( 卒婚 ) 그리고 생각 졸혼 卒 마칠 졸, 버금 쉬 부수 十 총획 8획 1 마치다 2 죽다 3 끝내다 婚 혼인할 혼 부수 女 총획 11획 1 혼인하다(婚姻--) 2 결혼하다(結婚--) 3 처가(妻家) [명사] 신조어 결혼을 졸업한다는 뜻 졸업의 졸자와 결혼의 혼자를 붙혀 만든 신조어입니다. 졸혼이라는 표현은 참 이기적인 표현이라고 보는데요. 이혼을 하려 하니 잃는 것이 너무 많고 , 그냥 살자니 싫고, 쉽게 말해서 바람은 피우고 쉽고, 나의 가정은 깨기 싫고, 그래서 말이 좋아서 졸혼이지 자신은 조금도 손해를 보지 않고 남은 인생을 즐길 겠다는 정말 울트라 슈퍼파워 이기주의적인 생각의 결과라고 봅니다. 우리나라의 결혼은 다른 나라의 결혼과는 달리 양가에 미치는 영향이 커서 그렇다고 말하는 분도 계시지만 핑계에 불과하다고 봅니다.. 2021. 1. 21.
색즉시공뜻 색즉시공 ( 色卽是空 ) 그리고 생각 색즉시공 「명사」 『불교』 현실의 물질적 존재는 모두 인연에 따라 만들어진 것으로서 불변하는 고유의 존재성이 없음을 이르는 말. 반야심경에 나오는 말이다. 표준국어 대사전 현세의 모든 욕심의 덧없음을 뜻하는 말인 것 같네요. ​ 불교는 윤회 사상을 믿는 종교라서 그런 것 같습니다. 이번 세상이 마지막이라고 생각하면 이런 말씀이 이렇게까지 널리 전해지지는 않았겠지요. ​ 모든 교훈적인 말이 그렇듯 우리가 실천하지 못하는 행동과 말이 지요. ​ 색즉시공 역시 그렇다고 보는데요. 다음 생에 또 다음 생에 가 있으니 현세에서는 덕을 쌓고 베풀자 그러면 계속 다음 생이 이어지는데 언제까지..... 세상 모든 것들은 그 자신을 위해 존재한다. 2021. 1. 20.
입춘뜻 입춘( 立春 ) 그리고 생각 입춘 「명사」 이십사절기의 하나. 대한(大寒)과 우수(雨水) 사이에 들며, 이때부터 봄이 시작된다고 한다. 양력으로는 2월 4일 경이다. ​ 얼마 전에 지난 입춘 추위는 특히 혹독해서 입춘방을 붙일 새도 없이 풀이 허옇게 얼어붙어 애를 먹던 생각이 났다. ≪박완서, 미망≫ ​ 입춘이 내일모레라서, 그렇게 생각하여 그런지는 몰라도 대낮의 햇살이 바로 따뜻한 것 같기도 하다. ≪박태원, 천변 풍경≫ 표준국어 대사전 입춘은 봄이 선다는 사전적인 뜻을 가진 말이지만 봄을 알리는 역할을 예전부터 해왔는 데요. ​ 사람들은 이제 봄이 오면 나무에 꽃이 다시 피고, 겨울잠을 자던 동물들도 활동을 시작하듯이 우리도 겨울 동안 춥다고 웅크려만 있던 몸과 마음을 다시 추스르고 새로운 환경에서 일할 준비를 합시다.라고 말합.. 2021. 1. 20.
반응형